컴퓨터

하드웨어/ 롬, 램, 기타메모리

Estel_la 2022. 2. 19. 00:00
반응형

▶ ROM(Read Only Memony)

* 한번 기록한 정보에 대해 오직 읽기만 허용하도록 설계된 비휘발성(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음) 기억장치

* 수정이 필요 없는 기본 입출력 프로그램(BIOS), 글자 폰트, 자가 진단 프로그램(POST)등의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하는 데 사용 

- Mask ROM: 제조과정에서 미리 내용을 기억시킨 ROM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음

- PROM(Programmable ROM): 사용자가 한 번에 한해 기록(쓰기)이 가능한 ROM

- EPROM(Erasable PROM): 자외선을 이용하여 기록된 내용을 여러 번 수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ROM

- EEPROM(Electrically EPROM):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된 내용을 여러 번 수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ROM

 

▶ RAM(Random Access Memory)

* RAM에는 현재 사용 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

*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이 모두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

*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라고 하면 램(RAM)을 의미

* 정보가 저장된 위치는 주소(Address)로 구분

 

- SRAM(Static RAM): 구성 소자는 플립플롭

정적인 램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됨

가격이 비싸고 용량이 적으나 속도가 빨라 캐시 메모리 등에 이용

- DRAM(Dynamis RAM): 구성 소자는 콘덴서

구조는 단순하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집적도가 높아 PC의 메모리로 이용함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하가 방전되므로 재충전 시간이 필요함 

 

▶ 기타 메모리

*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속 버퍼 메모리

- 캐시 메모리는 접근 속도가 빠른 정적 램(SRAM)을 사용함

 

*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

-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기억장치

 

*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 주기억장치 용량보다 큰 메모리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음

-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면 SWAP을 자주 수행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 연관(연상) 메모리(Associative Memory)

-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할 때 주소 대신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직접 접근하는 장치

-  정보 검색이 신속하고, 캐시 메모리나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에서 사용하는 매핑 테이블에 사용됨

 

*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 EEPROM의 일종으로 비휘발성

- 하드디스크에 비해 작고 충격에 강함

- PC의 바이오스(BIOS),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PDA 등에 사용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