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만 알고싶은 실전 심리학 2

직장 내 정신적 폭력에 대해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

뉴스를 보면 직장인이 건물에서 투신했다는 기사나 어떤 대표가 우울증 때문에 자살했다는 기사가 종종 나온다. 그러나 매스컴에서는 자살했다는 소식만 전할 뿐 자살을 선택한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 주지 않는다. 사실 이렇게 많은 직장인들이 자살을 선택하는 이유는 정신적 폭력 때문이다. 타인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들은 특징이 있다. 권위주의 문화 외 상사의 어릴 적 학대 경험도 중요한 작용을 한다. 어릴 적 또래나 부모에게 거부당한 아이는 폭력적인 성향이 강하며 갈등이 있었다면 마음에 아주 견고한 충동 저항 모델이 형성된다. 이러면 자신이 원하지 않는 상황이 생길 때마다 고의로 자신에게 대항하고 있다고 여기며 쉽게 화를 내고 괴롭힌다. 실제 사례로 이런 사람들이 꽤 많다고 한다. 어릴 때 부모에게 엄격한 훈육을 받..

2023.01.04

배고픈 판사는 왜 더 엄중한 처벌을 내릴까?

가장 객관적이고 공정해야 할 사법 재판에서도 사람은 무의식의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50일간 이스라엘 수용소 4곳에서 범죄자 가석방 관련 청원 승인에 대한 판사의 결정을 분석해보았다. 매일 두 번씩 오전 간식과 점심시간을 가지며 재판의 결과를 기록해보았는데, 휴식시간을 앞두었을 때 스트레스 고조가 범죄자에게 유리한 재판의 비율이 65% ▶ 0% 로 감소 휴식시간 후에는 다시 65%로 증가되었다. 휴식을 취한 판사는 마음이 편안해졌는지 다소 너그러운 판결을 하게 되었다. 반면 휴식을 갖지 못하고 계속 재판만 한 경우에는 깐깐한 판결을 한 경향을 보였는데, 대뇌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다 보니 그런가 싶었다. 이런 심리는 영업사원들이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고객에게 저가이면서 품질이 낮은 상품을 많이 ..

202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