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정리 2

직장 내 정신적 폭력에 대해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

뉴스를 보면 직장인이 건물에서 투신했다는 기사나 어떤 대표가 우울증 때문에 자살했다는 기사가 종종 나온다. 그러나 매스컴에서는 자살했다는 소식만 전할 뿐 자살을 선택한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 주지 않는다. 사실 이렇게 많은 직장인들이 자살을 선택하는 이유는 정신적 폭력 때문이다. 타인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들은 특징이 있다. 권위주의 문화 외 상사의 어릴 적 학대 경험도 중요한 작용을 한다. 어릴 적 또래나 부모에게 거부당한 아이는 폭력적인 성향이 강하며 갈등이 있었다면 마음에 아주 견고한 충동 저항 모델이 형성된다. 이러면 자신이 원하지 않는 상황이 생길 때마다 고의로 자신에게 대항하고 있다고 여기며 쉽게 화를 내고 괴롭힌다. 실제 사례로 이런 사람들이 꽤 많다고 한다. 어릴 때 부모에게 엄격한 훈육을 받..

2023.01.04

복잡한 상황에서는 직관을 믿어봐도 좋지 않을까?

복잡한 상황에서 직관적인 판단이 더 정확한 이유는 대뇌가 무의식 상태에서 변형된 부호와 그렇지 않은 상태의 부호의 다른 점을 식별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단순한 상황에서는 자연스럽게 무의식적으로 생각하지만 복잡한 상황에 직면하면 의식적인 사고를 한다고 한다 정말 중요한 결정을 할 때마다 심사숙고하지 말고 직관을 따라야 한다는 게 아니라 복잡하고 중요한 문제 앞에서 이성적인 생각 없이는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는 말이다. 때론 목표를 세울 때 머릿속에서 즉각적으로 튀어나오는 직관은 정확할 때도 있다. 목표가 정해지면 결과에 관계없이 무의식이 계속해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202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