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형 불교 재단이
성추행 피해를 입은 직원에게
또 한 번 상처를 주는 부당한 징계를 내렸다가,
결국 법원에서 ‘사이다’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 재단,
한두 번 논란이 아니더니
결국 법의 심판을 피하지 못했네요.
🧘♂️ 성추행 피해자에게 돌아온 건 ‘징계’였다?
사건의 시작은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전국 수백 개 사찰을 운영하는
대형 불교 재단 A 법인에 입사한 B 씨는,
재단의 이사장으로부터
무려 세 차례 성추행을 당했습니다.
이후 B 씨는 큰 정신적 충격으로
요양 휴직에 들어갔지만,
회사는 오히려 무단결근을 이유로
해고를 시도했죠.
이후 이사장의 성추행 사실은 1심에서 유죄,
대법원에서도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으로 확정됐습니다.
🚫 차별에 벌금까지… 그래도 또 징계?
A 법인은 성희롱 피해자인 B 씨를
본래 업무와 무관한 문화기념관 업무로 발령했고,
이에 대해 “직장 내 성희롱 신고자에 대한 불리한 처우”라는 이유로
벌금 200만 원의 처벌을 받았습니다.
그럼에도 B 씨가 원직 복귀와 차별 철폐를 요청하자,
돌아온 건 ‘시정’이 아니라 ‘징계’였습니다.
2023년 11월,
A 법인은 무려 19가지 이유를 들어
B 씨에게 정직 2개월 징계를 내렸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것들이었어요
- 기획실장에게 “초등학교부터 다시 다녀라” 발언
- 근무 중 의자 위에 다리 뻗기
- 경비 담당자보다 일찍 출근해 보안시스템 작동
- 건물 앞에 물 뿌림 등…
솔직히 들으면 들을수록 억지스럽죠.
⚖️ 법원 “18개는 말도 안 돼”…
결국 ‘부당징계’ 판결
서울행정법원은 이 사건에 대해
이렇게 판단했습니다.
“19개 징계 사유 중
18개는 징계 사유로 보기 어렵다.”
예를 들어 의자에 발을 뻗은 행동도
“상시 근무 공간이나 휴게 공간조차
제공받지 못한 상황에서의 행동”으로 봤습니다.
그나마 인정된 단 한 가지는,
기획실장에게 한 발언이었는데요,
재판부는 이마저도 “성희롱 피해 이후 따돌림과 폭언을 겪으며 격앙된 상황”을
참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결국 법원은
A 법인의 징계를 “징계재량권의 남용이자 위법”이라고 보고,
B 씨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 피해자 두 번 울리는 조직…
바뀌어야 합니다
성희롱 피해자에게 제대로 된 보호는커녕
불리한 처우와 징계를 반복한 재단.
이번 판결은
조직의 책임 회피와 보복성 징계를
법이 단호하게 막아선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누구도 직장에서 이런 일을 겪어서는 안 됩니다.
피해자를 보호하는 것이 상식이어야 하고,
잘못된 권위가 아닌 정의가 살아있는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피해자가 ‘더는 외롭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조금씩 목소리를 내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가계대출은 줄이자면서…” 한국은행, 직원에 ‘파격 대출’ 논란 (0) | 2025.07.07 |
---|---|
📢 "국어 쉽고 수학은 헬"... 2026 수능 예고편, 6월 모평에서 다 나왔다! (0) | 2025.07.07 |
🍽️ 러브버그를 먹었다고!? 유튜버 먹방 영상에 충격과 논란 ‘폭발’ (1) | 2025.07.04 |
💣 3천억 횡령하고 김치통에 돈 숨긴 가족까지… 경남은행 직원 (0) | 2025.07.04 |
💥이선균 협박해 3억 뜯은 유흥업소 실장… 석방됐다?! (0) | 2025.07.04 |